본문 바로가기
더하고싶은1cm

하루 한잔 커피 수혈 건강한 커피 마시는 시간

by comfy_576 2024. 4. 7.
반응형

 

카페인이 필요해요!


피곤을 이겨내기 위해서 한잔
운동 후 근육 통증을 줄이기 위해서 한잔
식사 후 한잔 친구와 수다 떨 때 한잔
습관처럼 한잔

개인마다 카페인에 대한 반응정도가 다르기 때문에

몸의 컨디션에 맞게 음용하기를 권장합니다.

바쁘고 피곤한 우리들에게 커피는 꼭 필요한 음식이 되었습니다.
커피(카페인)를 섭취하면 우리 몸은 여러 생리적 반응이 일어납니다.
집중력을 높여주고, 수면 요구를 지연시켜주고, 위산 분비 증가,

기초대사량 증가, 몸에 쌓인 피로를 풀어주고,

이뇨작용을 통해 체내 노폐물을 제거하는 등의 다양한 이로운 작용을 합니다.
이러한 커피를 똑똑하게 섭취하는 방법이 있다는거 알고 계신가요?

대부분의 사람들은 잠에서 깬 직 후 잠을 깨기위해 커피를 섭취하는 편입니다.
우리 몸이 잠에서 깨면 스트레스 호르몬 중 하나인 '코르티솔' 분비량이 늘어나기 때문입니다.
이 호르몬은 깨어난 직후 가장 높고 점차 감소합니다. 
이 때문에 잠에서 깨고 호르몬 수치가 가장 크게 떨어지는 
1시간~1시간 반 뒤에 섭취하는 것이 효과적인 각성효과를 느끼기에 가장 좋은 시간입니다.

운동 후에는 30분에서 1시간 사이에 섭취하게 되면 근육이 에너지 저장을 보충하고
운동 중에 증가할 수 있는 스트레스 호르몬 중 하나인 코르티솔 수치를 조절해 준다고 합니다.
저는 특히 괜스레 몸이 늘어지고 우울해지는 오후 4시~ 5시 사이에 주로 섭취를 합니다.

처음 마시는 커피도 중요하지만, 마지막 커피 또한 중요합니다.
잠자리에 들기 6시간 정도 전 섭취를 권장하고 있는데요
커피의 각성 효과는 개인마다 차이가 있겠지만 7~8시간 정도 지속된다고 합니다.
카페인은 깊은 수면을 방해하고 우리 몸속에서 점차 분해되기 때문입니다.

728x90


커피. 좋기만 할까요? 우리몸을 망치는 커피 습관도 있습니다.
 
공복커피
빈속에 커피를 마시면 커피의 여러 자극 물질이 위 점막을 공격해 위장질환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뜨거운 커피
뚝배기에 팔팔 끓는 탕 문화가 익숙한 우리들은 커피조차도 뜨겁게 마시곤 합니다.
( 카페에서 근무할 때 특히 겨울철에는 90도가 넘는 물로 아메리카노를 제작하곤 하는데요.
종종 물을 팔팔끓여서 아주 뜨겁게 달라고 요구하시는 손님분들도 더러 있었습니다.

심지어 라테 조차도요.)
뜨거운 커피를 반복적으로 마시면 뜨거운 커피가 식도를 반복 자극해서 

식도 점막 세포가 손상되어 식도암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해장커피
해장하기 위해 커피를 마시는 습관은
카페인의 각성 효과로 술에서 깨는 기분도 들고 일시적으로 갈증이 해소되지만, 
카페인에 이뇨작용으로 오히려 알코올을 분해하는 가장 중요한 
수분이 빠져나가 실제 숙취 해소에는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성인 하루 카페인 섭취량은 미국식품의약국에서 400mg이하로

이는 하루 최대 4잔정도 마시는 것을 권장하고 있습니다.
커피(카페인)는 뇌, 심장, 혈관에 영향을 주며 혈압을 높이기도 하고
두통, 속쓰림, 신경과민, 근육경련, 가슴 두근거림, 불면증 등

우리 몸에 다양한 해로운 작용을 하기 때문입니다.
적절한 섭취를 통해 건강한 식생활 즐기시기를 바랍니다.

반응형